로고가슴성형부작용ac컵?박진석성형외과상담글수술전후물방울가슴
box온라인상담box수술후기box
box홈페이지바로가기boxbox병원오시는길box
box
boxUPF그레이드를 요구해야하는이유box박진석원장의 학술활동box
box박진석원장의 신앙간증box
신앙간증논문개제스포츠조선가슴성형일기
텍스트
로고가슴성형부작용ac컵?박진석성형외과상담글수술전후물방울가슴
서브타이틀

가슴성형 칼럼 | Posted by 가슴성형 2024. 1. 29. 23:37

가슴성형부작용 장액종 원인

 

 

 

 

 

 

 


가슴성형 부작용 중 하나로 불리는 장액종(Seroma-백이 들어있는 공간에 핏물이 고이는 현상)은 가슴성형수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로 장액종이 생기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시기적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술 초기 ( 수술 이후 2주 이내) 

 

 

 

수술 초기에(수술 후 2주이내) 장액종이 고이는 경우는 수술직후 고였던 피가 응고되었다가 다시 액화가 되는 과정에서 핏물이 되고 주변 상처에서 나온 진물(조직액)이 흡수되지 않고 고여 있는 상태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양이 많지 않을 시 대부분은 시간이 자나면서 흡수가 됩니다. 하지만 양이 많은 경우라면 초음파 도움을 받아 주사기를 이용해서 제거해야 합니다.

 


 

 

 

 

 

 

수술 초,중기(수술후 1-4주)에 장액종이 고이는 경우

 

 


이런 경우는 감염에 의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감염에 의한 경우는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고이는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장액종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는 자주 초음파를 보면서 장액종을 제거하고 항생제를 사용하기 전에 채취한 장액을 세균배양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맥항생제를 2주정도 사용하고 먹는 항생제를 3주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일 항생제를 사용함에도 장액종 고이는 양이 줄지 않거나 늘어나는 경우는 조기에 공간을 열어서 안쪽을 깨끗히 세척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한 후에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 후에도 장액이 차는 현상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냉정하게 판단하여 보형물을 제거하고 염증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만기 장액종(Late Seroma)
 

 


가슴이 수술후 완전히 회복되어서 잘 지내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서 생기는 장액종입니다. 원인으로는 감염, 물리적 자극, 악성종양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감염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보형물에 묻어있던 세균이 환자의 면역이 좋을 때는 활동을 못하다가 환자의 면역이 떨어졌을 때 활동하는 경우, 유선염을 앓고 그 유선염이 깊어지는 경우, 심한 감기 몸살후 혈액을 따라서 보형물 주변조직에 염증이 시작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물리적 자극의 경우는 특히 표면이 거친 텍스쳐드보형물에서 더 잘발생할 수 있는데 살에 붙어있던 보형물이 살과 분리되면서 생기거나, 거친 면이 주변살과 마찰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문제가 되었던 ALCL(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는 매우 드믈어 우리나라에선 아직 보고된 바도 없지만 수술후 1년이상 지난 후에 보형물 주위에 물이 차는 경우는 이런 암세포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항암요법에도 잘 반응하므로 진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구형구축은 가슴성형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가슴이 단단하고 구형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수술 기법과 보형물의 진보로 인해 구형구축 발생률이 예전에 비해 상당히 감소했으나, 여전히 이 문제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발생빈도가 높은 부작용이니 만 그에 대한 원인도 충분히 알려졌을거라 생각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완벽하게 파악되어진 것은 아닙니다. 다만 초기 구축이 유발되는 과정에서 보면 염증성 반응이 좀 더 심한 경우에 구축이 더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런 구축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염증성 반응을 줄이려는 노력들이 많이 있습니다.

 

 

 

먼저 가장 최근에 공감하고 있는 이론으로는 세균막이 보형물 주변에 생기는 것이 중요한 원인이라는 "biofilm theory"가 있습니다.

 


 

이런 일종의 단백질 막이 생기지 않도록 출혈이 거의 없도록 수술하기 위해 내시경을 보거나 직접 공간을 보면서 수술하여 보형물이 들어갈 공간을 피에 물들지 않은 "dry pocket"을 만들려고 노력하며, 이 공간에 보형물을 넣기 전에 항생제나 소독물질로 세척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수술후 회복기에 발생할 수 있는 장액종(진물이 고임), 혈종(피가 고임)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도 합니다.

 


  

한 실리콘 내용물의 점도가 높은 코젤(cohesive silicone gel)을 사용하여 gel bleeding에 의한 구축가능성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환자의 경우 과로나 과음을 피하고 수술전 건강식을 통해 면역을 증진 시키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구축 예방약으로 알려진 아콜레이트나 싱귤레어는 동물실험이나 이론적으로는 효과가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큰 효과가 없다는 보고들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재수술이외에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경우에 종종 사용되고 있다. 간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가슴모양이 이상한 부작용

 

  • 상방변위 - 윗볼록
  • 폭포수변형  -  보형물은 정상 또는 위에 있으면서 덮여있는 본인의 살이 밑으로 흘러내려간 모양
  • 하방변위  -  밑빠짐
  • 이중주름  -  밑선이 두개로 접힘
  • 측방변위  -  보형물이 바깥쪽으로 이동
  • 유방합체증  -  보형물이 중앙에서 맞닿은 모양
  • 구형구축  -  백이 들어있는 공간이 줄어들어서 가슴모양이 공모양으로 바뀌면서 단단해지는 현상. 피막구축의 심한 상태 
  • 비대칭  -  크기, 모양, 위치 촉감 등

 

 

 

 

 

 

가슴의 모양이 이상한 부작용인 하방변위

 

 

하방변위는 보형물이 자연스러운 이상적위치보다 너무 아래로 치우친 경우를 말합니다. 가슴성형 수술에서 공간을 만들때 아래공간을 너무 크게 만들경우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많이 사용하는 2중평면법(위에는 근육뒤에 아래는 근육을 끊어서 근육에 안덮인 공간)을 하는 경우 근육 힘에 의해 보형물이 아래로 밀려 나오는 현상이 생기기도합니다.

 

 

 

 

 

 

 

 


 이러한 하방변위는 아래쪽의 갈비뼈가 꺼진 환자의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데, 자신의 유선이 볼륨이 있고 분명한 경우는 밑선이 두개로 보이는 이중주름변형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한편 가슴에 볼륨이 어느정도 있는 환자에서 이중평면을 한 경우 피막이 좀더 견고하게 생기게 되면 원래 환자 고유의 밑주름선 위아래 압력에 대한 조직의 이완 정도에 차이가 생기면서 2중주름이 생기기도 합니다.

 

 

 

 

 

 

 

 

 

 

 

 

 

 

 

 

 

 

 

 

 

 

 

 

 

 

 

 

 

가슴성형 칼럼 | Posted by 가슴성형 2024. 1. 4. 23:12

가슴성형부작용 염증을 조심해야

 

 

 

 

 

 

 

다양한 가슴성형 수술 중 대표적인 방법은 보형물을 사용한 가슴확대술입니다. 수술 기술과 보형물의 발전으로 안전성이 증가하였지만, 외과수술이므로 전신마취와 부작용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부작용을 줄이려 노력하나 완전한 부작용 없는 수술은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 중에서도 염증으로 인한 부작용은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도 피하고 싶어하는 문제입니다. 염증이 생겨난 경우라면 보형물을 빼고 교체하는 방법이 대부분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수술이 끝난 후 회복이 되어 예쁘게 자리잡은 가슴이 염증으로인해 다시 잃게 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환자가 가지는 물리적인 아픔은 물론 심적으로도 크게 힘들 수 밖에 없고 이는 환자를 수술한 의사에게 까지도 전해지기 마련입니다.

 

 

 

 

박진성형외과에서는 그렇기 때문에 가슴성형수술을 한 뒤 몇년 후에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라도 혹시나 병원시스템, 수술을 진행한 집도의에게 1차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점검을 종합적으로 하고 있으며 모든 곳에 배지를 설치해서 균배양을 통해 공기의 청정도를 평가하고 소독하는 문제도 재교육 중입니다.

 

 

 

 

 

 

 

 

 

다른 성형외과에서 1차 가슴성형수술을 받고난 후 재수술을 위해 박진석석형외과를 찾는 환자분들이 많은데 이런 환자분들은 보통 가슴성형수술의 부작용으로 인해 의사에 대한 신뢰를 잃으신분들도 계십니다. 용기를 내어 수술을 받았는데 결과가 좋지 않고 그 이후에 환자를 나몰라라 하는 의사의 태도에 실망을 하기 때문입니다.

 

 

  

가슴성형수술은 미용적인 목적도 있지만 여성의 자신감과 컴플렉스 극복을 위한 치료효과도 있는 수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큰 결심이 필요한 수술이기에 결과에 대한 기대도 높은편 입니다.  최고의 결과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것이 바로 가슴성형수술을 하는 의사 본연의 자세가 아닐까합니다.

 

 

 

물론 부작용없는 가슴성형수술을 위해 최선을 다해 수술을 하지만 부작요의 위험을 100% 피할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부작용이 생겼을때 철저한 대처와 환자를 위한 치료를 해야하는 것이 바로 가슴성형수술병원의 마음가짐이라 생각합니다.

 

 

 

 

 

 

 

 

 

 

 

 

 

 

 

 

 

 

 

 

 

 

 

 

 

 

 

 

 

 

 

 

 

 

 

 

 

 

 

 

 

 

가슴성형 보형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측방변위와 유방합체증은 가슴의 모양이 이상하게 되는 부작용이라 할 수있습니다.

 

 
가슴성형부작용 - 측방 변위( lateral displacement of implant)


보형물이 누으면 바깥쪽으로 너무 벗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형물이 누웠을 때 약간 퍼진 느낌이 들기를 원하지만 이런 현상이 지나치게 심한 경우는 보형물이 옆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여 불편하기도 하고 부자연스럽기도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갈비뼈 면이 이미 바깥쪽으로 기울어 있는 새가슴형의 골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경우에 우측에 비해 좌측 흉곽의 폭이 넓은데(심장이 있어서 인지?) 이런 이유로 우측보다는 좌측 가슴에서 정상범위의 보형물의 측방변위가 더 있어 좌우 다른 느낌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표면이 매끄러운 스므스 보형물 보다 표면이 거친 텍스쳐드 보형물을 사용하고 공간을 크게 만들지 않으며 맛사지를 자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완전히 공간이 안정화 되기 전까지 어깨 관절 운동을 자제 하여 근육이 보형물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치료법으로는 지나치게 넓은 바깥쪽 공간을 봉합해주는 방법, 또는 화상을 입혀서 흉살이 생겨 줄어들게 하는 방법, 인조 살을 대주는 방법등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가슴성형부작용 - 보형물의 내측 변위(유방합체증-Symmastia)


가슴성형부작용 측방변위와는 반대로 보형물이 가슴의 중앙에서 서로 만나는 유방합체증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역시 골격의 모양에 의해 위험성이 증가 될 수 있습니다.
갈비뼈의 모양이 박스형 골격 또는 가운데가 꺼져 있는 경우 이런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술시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런 유방합체증은 예방이 중요하며 치료는 바깥쪽 공간을 좀 넓혀주면서 안쪽을 봉합하거나 인조살을 대주는 방법을 사용하여 복원할 수 있으나 골격의 모양 때문에 재발 가능성이 있습니다.